1. 호전중이라지만 여전히 항암치료의 여파가 느껴지는 모습. 빨리 완치하길 빕니다.
2. 동독제 AKM인 MPiKM 오리지널을 들고 나왔네요.
총 자체가 특이한 점은 없으나, 미국에 이걸 부품 키트 사서 조립한 레플리카가 아니라 진짜 오리지널로 가진 민간인은 사실상 래리 비커스 한 사람뿐일 듯 합니다.
(물론 래리 비커스도 그냥 민간인이 아니라 해당 자격이 되는 사업자니까 법적으로 가능한거지만)
듣자하니 크로아티아의 창고에 오랫동안 쳐박혀 있던 사실상의 미사용 신품을 센츄리 암스 통해서 업어온거네요.
3. MPiKM은 1966년부터 생산된 버전으로, 총 자체는 신기할게 없지만 두드러기(...)가 심하게 난 개머리판과 독특한 핸드가드등으로 묘하게 개성적인 비주얼을 연출합니다.
구조나 총 자체의 설계에 특이점은 없으나, 그래도 명색이 "절마니" 인지라 냉전시대에 생산된 AK소총들 중에서는 손꼽히게 높은 품질을 자랑합니다.
재미있는 것은 동독제 AK시리즈 중 MPi-KMs-72라는 버전. 간단하게 말해 AKMS입니다만, 오리지널 AKMS와 달리 개머리판이 사이드 폴딩식입니다.
부피가 작고 원래의 언더폴딩 방식보다 힌지 부분의 마모가 적은 점, 무엇보다 단가가 저렴한 점 등으로 인해 루마니아와 폴란드도 나중에 이 방식을 흉내냅니다.
4. 동독은 이 총을 냉전시대에 나름 외화벌이 수단으로 잘 써먹습니다. 중남미등의 나라에도 꽤 수출됐고 페루나 인도가 이 총의 주요 고객들 중 하나였다죠.
이 성공에 힘입어 동독은 AK를 현대화(정확히는 AK-74의 동독 버전인 MPi-AK74를 현대화)해 5.56mm로 바꾼 StG-940 시리즈라는 물건을 개발해서 페루나 인도에 수출하기로 했지만, 이 두 나라의 주문을 제대로 소화하기 전에...
나라가 사라졌네요.
5. 통일 이후 통일독일군은 StG-940시리즈중 하나인 StG-941을 G3를 대체할 차기 제식소총으로 도입할 것을 나름 진지하게 검토한 바 있습니다.
근데 우리가 잘 아는 H모사의 극렬 반대로 결국 정식 사업화는 포기.
결국 이거 때려치고 G36 채택. StG-941은 아예 비교검토 대상에도 오르지 못했습니다.
잘한건지 못한건지는 평가 나름이겠습니다만 하여간 H모사 반대 밀어붙이고 도입했으면 어땠을지는 흥미로운 부분.
6. 하지만 이 과정이 독일군 장비에 끼친 영향이 하나 있죠. 바로 대검.
독일군은 동독제 소총의 도입은 포기했으나 대검은 동독이 남긴 1974년형 대검(AKM/AK74용)을 그대로 재활용하기로 했습니다.
그 결과 나온 것이 바로 G36용 대검으로, 동독제 대검들의 총구 링을 G36의 NATO규격에 맞춰 바꾸고 가죽 부품을 독일연방군 규격에 맞는 나일론 제품으로 바꾸는 등 개조는 했으나 기본 칼 자체는 그대로입니다. 칼집도 플라스틱/금속 부분은 그대로.
7. AK의 반동이라는게 5.56mm에 비하면 센건 맞지만 총 전반으로 보면 그렇게 심한건 아닙니다.
물론 저걸 저렇게까지 잘 콘트롤하는건 쏘는 사람의 레베루가 장난 아니라 그렇기는 합니다만.
8. 이 아저씨 동영상의 슬로모션 보고 있노라면 총의 파워라는게 보통 아니라는걸 확실히 느낍니다.
잘 보면 총이 막 휘청휘청 합니다. 쏠 때의 충격때문에요.
이게 AK가 허약해서가 아니라 탄의 발사 에너지라는게 그만큼 세서 그런겁니다. 다른 총들도 이래요....
